미미 코딩
데이터베이스 설계 및 구현 - (1) 데이터베이스의 이해 본문
01. 데이터베이스의 이해
1️⃣ 데이터 관리의 역사
1940년대부터 데이터 관리에 대한 이해가 생기게 되었고,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파일 처리 시스템 이 만들어졌다.
그리고 파일 처리 시스템의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DBMS가 만들어졌다.
2️⃣ 파일 처리 시스템
파일 처리 시스템은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이 독립적으로 데이터를 파일에 저장·관리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이렇게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이 개별적으로 파일을 저장·관리한다는 점에서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며, 대량의 데이터를 다루는 경우 문제점이 더욱 두드러진다.
- 데이터 종속의 문제, 중복 데이터의 문제, 무결성 훼손의 문제, 동시 접근의 문제
3️⃣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더 이상 애플리케이션 또는 파일에 사용자가 직접 접근하지 못하게 하여, 파일시스템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4️⃣ DBMS 관련 용어 정리
(1) 값 , 데이터, 메타데이터
숫자 12를 예를 들어 보자! 12는 측정된 사실로부터 발생하는 값(value)이다. 그리고 숫자 12는 '오늘', '최저 온도' 라는 부연 설명을 통해 명확한 데이터가 된다. ➡️ 데이터 = 값(value) + 메타데이터(metadata)
(2) 데이터 베이스
특정 조직의 업무 처리를 위해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데이터의 집합
(3)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DBMS)
데이터의 일관성, 무결성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여러 가지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소프트 웨어 패키지
02. 데이터베이스 모델링
우리가 사용하는 데이터를 아무런 규칙도 없이, 아무렇게나 데이터 베이스에 집어 넣을 수 없다!
대량의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효율적이고 명확한 구조를 만들어야 하며, 그 과정을 데이터베이스 모델링이라고 한다.
아래와 같은 과정으로 진행되며, 물리적 데이터 모델링 이후 얻어지는 물리적 스키마를 실질적으로 데이터베이스에 적용한다.
✔️개념점 데이터 모델링 → 논리적 데이터 모델링 → 물리적 데이터 모델링
03. MySQL
MySQL은 관계형 모델을 사용하는 오픈 소스형 DBMS이다. 크게 4개의 에디션을 제공하는데 이 중 GPL을 적용하는 Community 에디션만 무료로 사용이 가능하다. 데이터의 관리 및 사용이 주 목적인 DBMS는 기본적으로 관리 툴을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관리의 목적으로 별도의 프론트엔드 툴을 사용한다. MySQL의 경우 제공되는 GUI 툴인 MySQL 워크벤치를 사용할 수 있다.
방송통신대학교 강의 및 교재를 통해 공부하였습니다. 학과 : 컴퓨터과학과 과목명 : 데이터베이스 설계 및 구현 교수 : 정재화 |
'초보 개발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ML/CSS] 대표적인 Tag (0) | 2020.06.30 |
---|---|
[HTML/CSS] html이란?, inline 요소, block 요소, Box Model (0) | 2020.06.28 |
JPA 란? (0) | 2020.06.23 |
파일 처리 시스템 특징 (0) | 2020.06.21 |
검색 엔진 (0) | 2020.06.20 |